전체 글20 왜 어떤 아이는 수학 개념을 단번에 기억할까? 비결은 ‘OOO’입니다 수학을 공부하는데도 개념이 자꾸 잊혀지나요?수학 개념을 여러 번 공부했는데도, 시험만 다가오면 기억이 나지 않는 경험, 해보신 적 있나요? 7년째 수학강사로 일하면서 가장 많이 들었던 질문 중 하나가 바로 “개념은 알겠는데 오래 기억이 안 돼요”라는 말입니다.아이가 수학 문제를 풀 때 실수하거나 개념을 헷갈리는 근본적인 이유는 ‘암기식 개념 정리’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수학은 단순 암기가 아니라 개념 간의 연결과 이해가 핵심이며, 이를 돕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바로 ‘시각화’입니다.수학 시각화란 무엇인가요?수학 시각화는 개념, 공식, 원리를 도형·이미지·그래프·도식 등으로 표현하여 시각적으로 정리하는 학습법입니다. 복잡한 수식이나 정의도 그림과 구조로 표현하면 훨씬 더 빠르게 이해되고, 기억에도.. 2025. 6. 24. 잘 가르치는 강사 VS 못 가르치는 강사의 차이 (수업방식, 피드백, 진도관리) 수학강사로서 10년 넘게 현장에서 수많은 학생을 지도하면서, 강사의 역량이 학생의 성적 향상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절실히 느껴왔습니다. 본 글에서는 잘 가르치는 강사와 그렇지 못한 강사의 차이를 '수업방식', '피드백', '진도관리' 세 가지 핵심 기준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학부모나 학생이 수학강사를 선택할 때 반드시 체크해야 할 기준이기도 하며, 강사 입장에서도 스스로 점검해볼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수업방식의 차이: 설명 vs 이해수학을 가르치는 방식에서 가장 큰 차이는 '일방적 설명'에 머무느냐, '학생의 이해'를 유도하느냐입니다. 못 가르치는 강사일수록 판서나 설명에 집중하며 학생에게 질문을 거의 하지 않고, 수업이 일방적으로 흘러갑니다. 반면 잘 가르치는 강사는 학생의.. 2025. 6. 10. 수학점수, 실수 때문에 막힌다면? 실전전략을 알려드려요! “공부는 열심히 했는데 또 틀렸어요.”“이 문제 분명 풀 줄 아는데 시험에서 또 실수했어요.”수학을 공부하는 많은 학생들이 가장 억울해하는 말입니다.‘모르는 문제’보다 더 무서운 건 ‘알았는데 틀리는 문제’입니다.이런 실수형 오답은 반복될수록 학생의 자신감을 무너뜨리고, 수학에 대한 흥미까지 떨어뜨리죠.그렇다면 실수 많은 아이는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요?단순한 주의력 문제가 아니라, 학습 습관과 사고 과정 자체를 점검해야 합니다. 1. 실수는 '습관'이다 – 실수의 유형부터 파악하기수학 실수는 대부분 반복되는 패턴이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계산 실수 : 부호, 자리 올림, 곱셈 오류 등문제 조건 누락 : ‘최대’, ‘최소’, ‘정수’ 등의 조건 무시단위 실수 : cm → mm .. 2025. 6. 4. 연산만 빠르면 수학을 잘할까? 초등 고학년이 절대 놓치면 안 되는 2가지는? 수학에서 연산은 기본입니다. 그래서 많은 학부모님들이 “우리 아이는 연산 속도는 빠른데 왜 응용 문제에서 자꾸 틀릴까요?”라고 질문하십니다. 연산력은 중요하지만, 초등 고학년(4~6학년) 시기에는 단순 연산 속도보다 더 중요한 요소들이 있습니다. 수학 실력의 방향을 결정하는 핵심 두 가지. 지금부터 알려드릴게요. 1. 문제를 ‘읽고 이해하는’ 능력초등 고학년이 풀게 되는 문제는 점점 길어지고 복잡해집니다. 단순히 "12 + 37" 같은 연산을 넘어서, 문제의 의미를 해석하고 그 안에서 수학적 정보를 끌어내야 합니다. 이때 중요한 것이 바로 문제 독해력입니다.✔ 왜 중요한가요?문장제 문제가 많아지면서 수학적 사고보다 국어 독해력이 더 중요해지는 순간이 옵니다.문제 안의 조건을 파악하지 못하면 아무리 연산이.. 2025. 6. 3. 이전 1 2 3 4 5 다음